기후변화
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

물수지

home

설명

장래 수요량
인간과 생태계가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을 필요로 한다. 그 중에서 인간에게 필요한 물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을 통해 사용되는 물,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,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 등 사용목적에 따라 필요한 물이 존재한다. 이는 크게 3가지 용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생활용수, 공업용수, 농업용수가 이에 속한다. 생활용수는 음식, 목욕, 세탁 등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정용수와 관공서, 상업시설 등 도시 활동에 사용되는 용수를 의미하며 생활용수 수요량은 상수도 급수지역 수요량, 상수도 미급수지역 수요량 및 기타 지하수 이용량을 합하여 산정할 수 있다. 공업용수는 원료용수, 제품처리용수 등 제품을 생산하는 설비의 가동, 세척, 냉각 등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수와 생산 활동에 참여하는 종업원 및 사무실 음료 등에 이용되는 용수를 의미하며 공업용수 수요량은 기존 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량과 계획공단 및 개별입지 업체 수요량을 합하여 산정할 수 있다. 마지막으로 농업용수는 작물의 성장 및 가축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의미하며, 농업용수 수요량은 논용수 수요량, 밭용수 수요량 및 축산용수 수요량으로 구분된다.

장래 용도별 수요량 추정은 물이용 관련 계획 및 사업 전반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. 또한 국가 및 지역 수자원 계획 수립 시 이용되는 기초자료로 지역별 또는 유역별 수요량을 통해 향후 공급가능량과의 비교를 통해 물 부족량을 분석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 및 계획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.

생활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해서는 장래인구, 1인1일 사용량, 1인1일 급수량, 계획보급률, 목표유수율 등 다양한 인자가 필요하다. 산정된 생활용수 수요량은 통계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구변화 시나리오(고위/중위/저위)와 수요관리 시나리오(목표대비 150% 달성, 100% 달성, 50% 달성)를 고려하고 나머지 인자들에 대해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자료를 활용하여 행정구역별로 미래 수요량을 추정하였다. 행정구역별로 추정된 미래 생활용수 수요량은 변환비를 통해 중권역별로 변환되었으며, 추정된 미래 수요량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고수요 시나리오,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저수요 시나리오, 평균적인 값을 나타내는 기준수요 시나리오 전망치로 제시하였다. 공업용수 수요량은 지방상수도, 광역 및 공업용수도를 통한 공업용수 공급량, 하천수 취수량, 공업용 지하수 이용량, 댐용수 이용량, 농업용저수지 농업용 목적외 공급량을 조사하고 공단 조성후 실가동률을 적용하여 기존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량을 산정할 수 있다. 계획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량은 조성 중이거나 확장된 계획공단 등을 조사하고 부지면적당 원단위를 적용하여 수요량을 산정할 수 있다. 산정된 공업용수 수요량은 공단의 재이용률과 향후 경제성장률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공업용수 수요량을 추정하게 된다. 최근 들어 GDP가 증가하더라도 국내외 공업용수 수요량이 안정화되기 때문에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추정한 2020년 공업용수 수요량(고수요/기준수요/저수요 시나리오)은 그 이후에도 동일할 것이라는 가정과 세계 경제지표 전문 사이트인 Trading Econnomics에서 제공하는 국내 경제성장률 1.76%를 적용하여 행정구역별 미래 공업용수 수요량을 산정 후 변환비를 통해 중권역별 공업용수 수요량을 추정하였다. 추정된 4가지 미래 공업용수 수요량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고수요 시나리오,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저수요 시나리오, 평균적인 값을 나타내는 기준수요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. 농업용수 수요량은 논용수 수요량, 밭용수 수요량 및 축산용수 수요량으로 구분하여 추정하게 되며, 수요량 산정 시 작물계수, 증발산량, 침투량, 총신속유효수분량, 경지면적, 사육두수 추정 및 물사용원단위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야 한다. 산정된 미래 농업용수 수요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일별 기상관련 자료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지면적, 사육두수 전망치를 활용하였으며, 2024년 이후로는 경지면적과 가축사육두수가 동일하다고 가정한 후 증발산량 공식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추정하였다. 추정된 다양한 미래 수요량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고수요 시나리오,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저수요 시나리오 및 평균적인 값을 나타내는 기준수요 시나리오로 나타내었다.
물 부족 시나리오 전망
향후 지역적 물 부족이 얼마나 발생할지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수자원 계획 수립, 즉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관련 계획 및 사업 추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.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우패턴의 변화 등으로 장래 수요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한 물 공급의 변화를 사전에 분석하여 유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. 이를 위해 유역별 장래 수요변화 시나리오 3개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17개로 구성된 총 51개 미래 시나리오 경로를 선정하고 각 미래 시나리오 경로별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.

물 부족 시나리오란 물 수급 전망을 통해 분석된 미래 중권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 전망 결과를 의미한다. 물 수급 전망은 하천유역의 미래 물 수요를 예측한 후 유역 내 공급 가능한 수자원과의 균형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이며 예측된 용수 수요와 공급가능한 수자원을 바탕으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연도별 물 부족량을 분석하였다. 물수지 분석은 유역 내 물 수요 및 공급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수요량 및 공급량에 대한 균형 분석을 통해 물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과정이라 할 수 있다.

물 수급 전망 결과를 통해 장래 물 부족이 예상될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관련 계획을 수립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. 장래 물 수급 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적인 차원에서 장기적인 물 수급 관련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. 또한 시공간적인 물 수급 전망 결과를 제시하고 용도에 따른 물 수급 평가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지역 특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수자원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. 물 수급 전망 결과를 통해 지역별 물 부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시공간적인 물 이용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, 이를 기반으로 유역별 물 수급 안정성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계획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.

물 수급 전망 결과는 미래 권역별 51개 시나리오(기후변화 시나리오 17개와 수요변화 시나리오 3개)에 대한 기간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중권역별 용도별 물 부족량을 산정한 후 기간별 시나리오 분석 결과 중 가장 큰 값(최대), 3사분위값(75%), 중앙값, 1사분위값(25%), 가장 작은 값(최소)을 산정하여 제시하였다.